맨위로가기

버진 레코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진 레코드는 1972년 리처드 브랜슨, 사이먼 드레이퍼, 닉 파월에 의해 설립된 영국의 음반사이다. 초기에는 크라우트록 음반을 취급하는 음반 가게에서 시작하여, 마이크 올드필드의 《튜블러 벨스》의 성공으로 프로그레시브 록 레이블로 명성을 얻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레게 전문 레이블 프론트 라인을 설립하였고, 1980년대에는 컬처 클럽 등을 통해 메이저 레이블로 성장했다. 1992년 EMI에 매각되었고, 2012년 EMI가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인수되면서 현재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 산하 레이블로 운영되고 있다. 버진 레코드는 섹스 피스톨즈, 다프트 펑크, 스파이스 걸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을 배출했으며,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 버진 클래식스, 프론트 라인 등의 하위 레이블을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MI - 노먼 스미스
    영국 출신 음악 프로듀서, 엔지니어, 가수인 노먼 스미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왕립 공군 글라이더 조종사로 복무했으며, 비틀즈 초기 앨범들의 사운드 엔지니어, 핑크 플로이드 초기 앨범 제작 참여, "허리케인 스미스" 예명으로 가수 활동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 EMI - 애비 로드 스튜디오
    애비 로드 스튜디오는 1931년 런던에 설립된 녹음 스튜디오로, 비틀즈, 핑크 플로이드 등 유명 아티스트들의 앨범 제작에 기여했으며, 1969년 비틀즈 앨범 커버 촬영지로 유명해졌고, 현재 유니버설 뮤직 그룹이 소유하고 있다.
  • 버진 그룹 - 버진 사모아
    버진 사모아는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홀딩스와 사모아 정부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피지, 사모아 등 섬들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으나, 사모아 정부의 투자 철수로 2017년 운항을 중단했다.
  • 버진 그룹 - V 오스트레일리아
    V 오스트레일리아는 2006년 설립되어 보잉 777-300ER 기종으로 시드니를 허브 공항으로 하여 국제선을 운항하다가 2011년 버진 블루와 합병된 항공사이다.
  • 영국의 음반사 - 데카 레코드
    1929년 에드워드 루이스가 설립한 데카 레코드는 ffrr 기술 개발로 고음질 녹음 명성을 얻고 롤링 스톤즈를 데뷔시키는 등 대중음악계에도 기여했으나 폴리그램에 인수되어 현재 유니버설 뮤직 그룹 산하 클래식 레이블로 운영된다.
  • 영국의 음반사 - NoCopyrightSounds
    NoCopyrightSounds(NCS)는 빌리 우드포드가 2011년에 설립한 유튜브 채널이자 음악 레이블로, 인디 제작자들이 저작권 걱정 없이 음악을 활용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버진 레코드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버진 레코드 로고
버진 레코드 로고
부모EMI (1992-2012)
유니버설 뮤직 그룹 (2012-현재)
설립버진 레코드 Ltd.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 Inc.
설립자리처드 브랜슨
사이먼 드레이퍼
닉 파월
톰 뉴먼
유통EMI (영국)
Virgin Music Group (미국 및 국제)
장르Various (다양)
국가영국
추가 정보
대체 이름ヴァージン・レコード (일본어)

2. 역사

1972년 리처드 브랜슨, 사이먼 드레이퍼, 닉 파월이 버진 레코드를 설립하고, 1973년 첫 음반으로 마이크 올드필드의 ''튜블러 벨스''를 발매했다.[39] 초기에는 헨리 카우, 파우스트, 탠저린 드림 등 실험적인 음악을 주로 발표했다. 1970년대 후반에는 레게 전문 레이블 프론트 라인(Front Line영어)을 설립했다.[39]

1980년대에는 컬처 클럽 등을 히트시키며 대중적인 노선을 걷기 시작했다. 1987년 미국 법인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Virgin Records America영어)를 설립하고, 일본 후지산케이 그룹이 자본 참여를 했다.

1992년 EMI에 인수되었고, 1997년 EMI는 나라다 프로덕션을 인수했다. 2012년 EMI가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인수되면서 버진 레코드도 유니버설 뮤직 그룹 산하가 되었다. 2021년 유니버설 뮤직 그룹은 독립 레이블 및 아티스트 지원 서비스인 Virgin Music Label & Artist Services(VMLAS)를 설립했다.[40][41]

2. 1. 설립 초기 (1972년 ~ 1977년)

1972년 리처드 브랜슨, 사이먼 드레이퍼, 닉 파월이 버진 레코드를 설립했다.[39] 브랜슨과 파웰은 런던 노팅힐 게이트에서 "Virgin Records and Tapes"라는 작은 음반 가게를 운영했는데, 크라우트록 수입 음반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음악을 듣는 고객들을 위해 빈백과 무료 채식 음식을 제공했다.[10] 첫 번째 실제 매장은 옥스퍼드 스트리트의 토트넘 코트 로드 끝에 있는 신발 가게 위에 있었다.

가게를 성공시킨 후, 그들은 사업을 본격적인 음반 레이블로 전환했다. 브랜슨의 자서전에 따르면, '''버진'''이라는 이름은 사업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할 때 그의 동료인 테사 와츠가 제안한 것으로, 그들이 모두 사업에 처음이라 마치 "처녀"와 같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11] 원래 버진 로고(팬들에게는 "제미니" 또는 "쌍둥이" 로고로 알려짐)는 영국 예술가이자 삽화가인 로저 딘이 디자인했는데, 거대한 꼬리가 긴 도마뱀과 딘의 친숙한 글씨체로 "Virgin"이라는 단어가 적힌 젊은 나체의 여성이 거울에 비친 모습이었다. 이 로고의 변형은 파생 레이블인 캐롤라인 레코드에 사용되었다.[12]

초창기 버진 레코드 레이블을 위해 로저 딘이 디자인한 버진 로고


1973년, 첫 발매작인 마이크 올드필드프로그레시브 록 앨범 ''튜블러 벨스''가 대히트를 기록했다.[39] 이 앨범은 톰 뉴먼에 의해 발굴되어 사이먼 드레이퍼에게 소개되었고, 결국 리처드와 닉이 1973년 톰 뉴먼이 프로듀싱한 이 앨범을 첫 번째 발매작으로 내놓도록 설득했으며, 이를 통해 초창기 레이블은 전례 없는 찬사를 받았다.[13] 이어서 탠저린 드림의 전자 음악 혁신 앨범 ''페드라'' (톱 20 진입)와 파우스트의 ''파우스트 테이프''와 ''파우스트 IV''를 포함한 주목할 만한 크라우트록 발매가 이어졌다. ''파우스트 테이프'' 앨범은 49펜스 (7인치 싱글 가격)에 판매되었고, 그 결과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이 밴드는 6만 장 이상 판매되어 엄청난 청중을 확보했으며[14] 차트 12위에 올랐지만, 나중에 앨범 가격을 이유로 순위에서 제외되었다.[15][16] 그 외 초창기 앨범으로는 의 ''플라잉 티팟 (Radio Gnome Invisible, Pt. 1)''가 있다.[17]

레이블의 첫 번째 싱글 발매는 케빈 코인의 "Marlene" (b/w "Everybody Says")으로, 1973년 8월에 발매된 그의 앨범 ''마조리 레이저블레이드''에 수록되었다.[18] 코인은 올드필드 다음으로 레이블과 계약한 두 번째 아티스트였다.[19]

1970년대 후반, 레게 전문 레이블 프론트 라인을 설립했다.[39]

2. 2. 펑크 록과 뉴 웨이브 시대 (1977년 ~ 1992년)

버진은 초창기 잉글랜드와 유럽 프로그레시브 록의 주요 레이블 중 하나였지만, 1977년 섹스 피스톨스 (이미 EMIA&M에서 계약했다가 해지된)를 영입하면서 레이블은 뉴 웨이브 전초 기지로 재탄생했고, 이는 음반 회사를 펑크 록 시대의 주류로 끌어들였다.[13] 버진의 홍보 책임자(이자 나중에 제작 이사)인 테사 와츠의 지휘 아래, 섹스 피스톨스는 레이블을 성공으로 이끌었다.[20] 얼마 지나지 않아 노팅엄의 한 음반 가게는 섹스 피스톨스의 앨범 ''Never Mind the Bollocks, Here's the Sex Pistols''를 창문에 전시했다는 이유로 경찰의 단속을 받았다. 이후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복서, 컬처 클럽, 핑거프린츠, 길런, 홀리 앤 더 이탈리안스, 더 휴먼 리그 (1981년 "Don't You Want Me"는 이 레이블의 첫 번째 차트 1위 싱글이었다), 매거진, 스키즈, 모터스, 페네트레이션, 더 루츠, 슈팅 스타, 심플 마인즈, XTC 등과 계약했다.

1975년에 도입된 빨강, 흰색, 파랑 디자인의 수정된 쌍둥이 레이블이 등장했는데, 이는 펑크와 뉴 웨이브의 절정기와 일치했다.[21] 현재의 버진 로고(비공식적으로 "낙서"로 알려짐)는 당시 버진 레코드 리미티드의 전무 이사였던 사이먼 드레이퍼가 의뢰하여 1978년에 제작되었다. 쿠크 키 어소시에이츠의 브라이언 쿠크는 그래픽 디자이너에게 양식화된 서명을 제작하도록 의뢰했다. 이 로고는 1978년 마이크 올드필드의 앨범 ''Incantations''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버진 그룹버진 애틀랜틱, 버진 모바일 및 버진 머니를 포함한 다른 부분에서 점차적으로 채택될 때까지 버진 레코드 레이블에서 독점적으로 사용되었다.

1987년에는 미국 법인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Virgin Records America영어)를 설립하고, 일본 후지산케이 그룹이 자본 참여를 했다.

2. 3. EMI 인수와 유니버설 뮤직 그룹 편입 (1992년 ~ 현재)

1992년, 버진 레코드는 리처드 브랜슨에 의해 EMI에 10억 달러(5.6억파운드)에 매각되었다.[22][23] 이 계약에는 브랜슨이 향후 5년간 다른 레코드 회사를 설립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브랜슨은 버진 애틀랜틱 항공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버진 레코드를 매각했다.

EMI에 인수된 후 버진은 리얼 월드 스튜디오, 이노센트 레코드, 포인트 블랭크 레코드, 헛 레코딩스와 같은 여러 자회사를 설립했다. 또한 , 서티 세컨즈 투 마스, 롤링 스톤스, 스파이스 걸스, 스매싱 펌킨스, 더 쿡스, 플라시보, 자넷 잭슨, 다프트 펑크, 케미컬 브라더스 등과 계약을 맺었다.

1997년, EMI는 나라다 프로덕션을 인수했다. 같은 해, 버진은 EMI 레코드의 나머지 부분인 EMI USA를 흡수했다. 1998년에는 컨트리 음악 부서인 버진 레코드 내슈빌을 열었고, 스콧 헨드릭스가 사장을 맡았다.[25] 줄리 리브스, 제리 킬고어, 로이 D. 머서 등이 이 레이블과 계약했다. 2001년, 버진 내슈빌은 문을 닫았고 소속 아티스트들은 캐피톨 레코드 내슈빌 부서로 통합되었다.[26]

2012년, EMI가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인수되면서 버진 레코드도 유니버설 뮤직 그룹 산하 레이블이 되었다.

2021년 2월, 유니버설 뮤직 그룹은 독립 레이블 및 아티스트 지원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서비스인 Virgin Music Label & Artist Services(VMLAS)를 설립했다. 일본에서는 VMLAS Japan이 발족되었다.[40][41]

3. 주요 레이블

버진 레코드는 다양한 산하 레이블을 통해 여러 장르의 음악을 발매했다. 주요 레이블은 다음과 같다:


  • '''카리스마 레코드(Charisma Records)''' (1983년 인수): 제네시스, 몬티 파이썬 등이 소속되었던 레이블로, 1986년 버진에 흡수되었다. 1990년 미국에서 다시 활성화되었으나 1992년 다시 폐지되었다.
  • '''벤처 레코드'''(Venture Records) (1987년 설립): 클라우스 슐체(Klaus Schulze)를 포함한 뉴에이지 및 현대 클래식 아티스트를 위한 레이블.
  • '''10 레코드'''(10 Records): AVL (Associated Virgin Labels Limited)의 일부.
  • '''사이렌 레코드'''(Siren Records): 1980년대 AVL의 일부.
  • '''서카 레코드'''(Circa Records): 1980년대 AVL 레이블이었으나, 이후 버진의 '전략적 마케팅' 부서가 됨.
  • '''캐롤라인 레코드(Caroline Records)''': 1973년부터 1977년까지 사용된 저가 레이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버진 레코드의 일부 미국판에 사용되었으며, 2013년에 독립 레이블로 다시 활성화되었다.
  • '''프론트 라인 레코드(Front Line Records)''' (1978년 설립): U-Roy, 그레고리 아이작스(Gregory Isaacs) 등 자메이카 및 영국 레게 음악을 발매.
  • '''딘디스크(Dindisc)''' (1980–1981): 오케스트랄 매뉴버스 인 더 다크(Orchestral Manoeuvres in the Dark) 등이 소속되었으며, 이후 버진 카탈로그에 포함.
  • '''누 트라이브 레코드(Noo Trybe Records)''' (1994-1999): 루니즈(Luniz) 등 서부 해안 힙합 아티스트 중심 레이블.
  • '''델라벨'''(Delabel): EMI 프랑스 지사의 주요 음반사 중 하나로, 마티유 세디(Mathieu Chedid), 다프트 펑크(Daft Punk) 등과 계약. 2012년까지 존재.


손 EMI에 인수된 후 버진은 리얼 월드 스튜디오(Realworld Records), 이노센트 레코드(Innocent Records), 포인트 블랭크 레코드(Point Blank Records), 헛 레코딩스(Hut Recordings)와 같은 자회사를 설립했다.[24]

3. 1.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 (Virgin Records America)

1986년에 설립된 버진 레코드의 북미 사업 부문이다.[8] 2012년부터 더 이상 활동하지 않으며,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에 본사를 두고 캐피톨 뮤직 그룹(Capitol Music Group) 산하에서 운영되었으며, 현재 UMG가 소유하고 있다. 미국 사업부는 또한 버진 레코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9] 바스티유, 바르바라 프라비, 서카 웨이브스, 코린 베일리 래, 엘라 에어, 그리즈폴크, 워킹 온 카스, 세이나보 세이, 프라이즈 등 유럽 아티스트가 대부분이었던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에는 소수의 아티스트가 남아 있었고, 미국의 아티스트로는 녹스 해밀턴(Knox Hamilton), L'Tric, 로렌 그레이, 라이즈 어게인스트 등이 있었다.

1992년 6월, 버진 레코드는 손 EMI에 10억달러에 매각되었다.[22][23] 1996년, 버진 레코드는 자넷 잭슨에게 당시 약 8000만달러 규모의 대형 계약 중 하나를 제안했다. 이 계약은 또한 버진이 비디오 제작, 마케팅 및 프로모션 비용으로 약 2500만달러를 할당하도록 요구했는데, 이는 대부분의 계약보다 훨씬 큰 금액이었다.[32]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는 임원진 조던 해리스, 제프 아이어로프 및 필 쿼타라로에 의해 설립되었다.

2007년 EMI 그룹의 대대적인 구조 조정 이후 캐피톨 레코드와 버진 레코드 아메리카는 캐피톨 뮤직 그룹으로 합병되었다.[27]

3. 2. 버진 클래식스 (Virgin Classics)

1988년 버진 레코드의 일부로 설립되었다. 2012년 EMI 그룹 인수 과정에서 유니버설 뮤직 그룹(UMG)에 인수되었으나,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의 승인 조건에 따라 워너 뮤직 그룹에 매각되었다. 워너 뮤직 그룹은 버진 클래식스 소속 아티스트와 카탈로그를 에라토 레코드 부서에 배치했고, "버진 클래식스"라는 이름은 사라졌다.[22][23]

3. 3. 프론트 라인 (Front Line)

1970년대 후반, 버진 레코드는 레게 전문 레이블인 프론트 라인(Front Line)을 설립하였다.

3. 4. 카리스마 레코드 (Charisma Records)

1983년 버진 레코드는 카리스마 레코드를 인수했다.[5] 카리스마 레코드는 제네시스, 몬티 파이튼 등이 소속되어 있던 레이블이었다.

3. 5. 기타 레이블

1983년, 버진은 카리스마 레코드(Charisma Records)를 인수하여 '''Charisma/Virgin'''으로 이름을 변경한 후, 다시 '''Virgin/Charisma'''로 변경했다. 이후 1986년에 레이블을 폐쇄하고, 소속 아티스트들을 버진으로 이관했다. 이 과정에서 제네시스(Genesis)와 코미디 그룹 몬티 파이썬(Monty Python)을 인수했다. 카리스마 레이블은 1990년 미국에서 다시 활성화되었으며, 맥시 프리에스트(Maxi Priest), 38 스페셜(38 Special) 및 엔그마(Enigma)와 같은 아티스트를 영입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카리스마 레이블이 1992년에 폐지되었을 때, 이전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아티스트가 버진으로 이관되었다.

1987년, 클라우스 슐체(Klaus Schulze)를 포함한 뉴에이지 및 현대 클래식 아티스트를 위해 '''벤처 레코드'''(Venture Records)가 설립되었다. 슐체는 1970년대 초부터 버진과 관련을 맺어왔다.[17]

'''10 레코드'''(10 Records)는 때때로 Ten으로 불렸으며, AVL (Associated Virgin Labels Limited – 버진 레코드 유한회사가 소유한 마케팅 회사)의 일부였다.

'''사이렌 레코드'''(Siren Records)는 1980년대의 또 다른 레이블로, AVL의 일부가 되었다.

'''서카 레코드'''(Circa Records)는 1980년대의 또 다른 AVL 레이블이었지만, 버진의 '전략적 마케팅' 부서가 되었다.

'''캐롤라인 레코드(Caroline Records)'''는 1973년부터 1977년까지 사용된 저가 레이블이었다. 이 이름과 로고는 나중에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버진 레코드의 일부 미국판에 사용되었다. 캐롤라인은 주로 독립 유통에 사용되었으며, 2013년에 레이블이 다시 활성화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프론트 라인 레코드(Front Line Records)''' (또는 '''버진의 프론트 라인''')는 1978년부터 약 1987년까지 자메이카 및 영국 레게 음악을 발매하기 위한 레이블이었다. 프론트 라인 아티스트에는 U-Roy, U Brown, 마이티 다이아몬드(Mighty Diamonds), 키스 허드슨(Keith Hudson), 알테아 & 도나(Althea & Donna), 자 로이드(Jah Lloyd), 조니 클라크(Johnny Clarke), 글래디에이터스(The Gladiators), 피터 토시(Peter Tosh), I-Roy, 태퍼 주키(Tapper Zukie), 슬라이 덤바(Sly Dunbar), 트윙클 브라더스(Twinkle Brothers), 프린스 파 I(Prince Far I), 빅 유스(Big Youth), 아비시니안스(The Abyssinians), 컬처(Culture), 그레고리 아이작스(Gregory Isaacs) 및 린턴 퀘시 존슨(Linton Kwesi Johnson)이 포함되었다.

단명했던 관련 레이블인 '''딘디스크(Dindisc)'''는 잠시 동안 오케스트랄 매뉴버스 인 더 다크(Orchestral Manoeuvres in the Dark)와 더 모노크롬 세트(The Monochrome Set)를 소속시켰으며 (1980–1981), 이후 이들의 음반은 버진의 카탈로그에 포함되었다.

'''누 트라이브 레코드(Noo Trybe Records)'''는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존재했던 힙합 레코드 레이블이었다. 이 레이블은 루니즈(Luniz)와 같은 주로 서부 해안 힙합 아티스트로 구성되었다. 또한 1994년 버진의 자매 레이블인 우선 레코드(Priority Records)에서 유통을 전환한 후 랩-어-랏 레코드(Rap-A-Lot Records)의 발매를 유통하기도 했다.

'''델라벨'''(Delabel)은 버진 뮤직, Hostille, Blue Note France 및 Labels와 함께 EMI 프랑스 지사의 주요 음반사 중 하나였다. 델라벨은 2012년까지 존재했다. 마티유 세디(Mathieu Chedid), 다프트 펑크(Daft Punk), 통통 데이비드(Tonton David) 등과 계약했으며, 1993년부터 2006년까지 프로디지(The Prodigy)의 프랑스 발매를 유통하기도 했다.

4. 한국과의 관계

버진 레코드의 음반들은 한국에서도 발매되어 대중음악 팬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4. 1. 일본 유통 경로

초창기에는 일본 컬럼비아가 일본반 발매를 담당했다.[43] 1979년에 빅터 음악 산업(→빅터 엔터테인먼트)로 유통사가 변경되었다. 1984년에는 도시바 EMI(이후 EMI 뮤직 재팬유니버설 뮤직/EMI RECORDSVirgin Music)로 다시 변경되었지만, 1987년에 후지산케이 그룹이 자본 참여를 하면서, 이 회사 계열의 포니 캐년 산하 기업으로 일본 법인인 버진 재팬이 설립되었다 (다만 초기 판매는 빅터 음악 산업이 담당했고, 포니 캐년이 판매를 담당하게 된 것은 1990년부터였다).

영국 EMI가 버진 레코드를 인수하면서, 발매원이 다시 도시바 EMI로 변경되었고, 일본 법인 (버진 재팬)은 모회사인 포니 캐년에 인수되어 '''미디어 레모라스'''로 사명을 변경했다 (이후 1997년에 포니 캐년에 사실상 흡수되었다).

2012년, 유니버설 뮤직 그룹이 EMI의 음악 소프트 부문을 인수함에 따라, 2013년부터는 유니버설 뮤직・유니버설 인터내셔널 (팝 음악 제작), EMI R (일본 음악 제작), EMI RECORDS (일본 음악 제작)가 발매를 담당하게 되었다.

5. 소속 아티스트

버진 레코드는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을 배출했다. 다음은 버진 레코드에 소속되었던 아티스트 목록이다.



참고: 과거에 소속되었던 아티스트도 포함.

5. 1. 주요 소속 아티스트 (일부)



참고: 과거에 소속되었던 아티스트도 포함.

5. 2. 한국계 또는 한국 관련 아티스트

참조

[1] 서적 Virgin: A History of Virgin Records https://books.google[...] 2011-07-06
[2] 웹사이트 Our Labels & Brands https://www.universa[...] 2021-03-28
[3] 웹사이트 Introducing Virgin Music Label & Artist Services https://virgin.com/a[...] 2021-03-28
[4] 웹사이트 UNIVERSAL MUSIC GROUP LAUNCHES VIRGIN MUSIC LABEL AND ARTIST SERVICES https://www.universa[...] 2021-03-28
[5] 웹사이트 Universal launches Virgin Music Label & Artist Services around the world, rebranding Caroline and Caroline International https://www.musicbus[...] 2021-03-28
[6] 간행물 UMG Launches Indie-Focused Virgin Music Label & Artist Services https://www.billboar[...] 2021-03-28
[7] 웹사이트 Universal rebrands its label services business as Virgin Music https://completemusi[...] 2021-03-28
[8] 서적 Billboard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1-06-23
[9] 웹사이트 Virgin Records (@virginrecords) https://twitter.com/[...] 2017-07-21
[10] 뉴스 The day my music died http://books.guardia[...] 2004-03-26
[11] 문서 Then Came Branson http://www.inc.com/m[...] Inc Magazine Online 2011-07-07
[12] 뉴스 Forty years of Virgin: How Richard Branson's eccentric record label https://www.independ[...] 2017-12-27
[13] 웹사이트 Simon Draper: Virgin Records – timeline https://www.google.c[...] 2013-02-28
[14] 간행물 Archived article http://www.faust-pag[...] 2021-04-17
[15] 웹사이트 Faust https://monolithcock[...] 2010-06-17
[16] 웹사이트 FAUST: IN A CHAOTIC STATE OF MIND https://larecord.com[...] 2021-04-17
[17] 웹사이트 Virgin Records https://www.virgin.c[...] 2024-07-13
[1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Virgin Records https://www.louderso[...] 2015-12-18
[19] 웹사이트 Kevin Coyne https://www.independ[...] 2004-12-04
[20] 문서 Nathan Joseph – Renaissance Man http://www.transatla[...] Transatlantic Records Online 2010-06-02
[21] 웹사이트 Virgin Label Discography – UK – Page 2 http://www.45cat.com[...] 2017-07-21
[22] 웹사이트 About Us – About The Virgin Group http://www.virgin.co[...] 2013-02-28
[23] 웹사이트 EUROPA – Competition – Cases from 200 to 249 http://ec.europa.eu/[...] 2013-02-28
[24] 뉴스 Vote solid for Thorn demerger https://www.independ[...] 1996-08-17
[25] 서적 Encyclopedia of Recorded Soun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11-12
[26] 간행물 Virgin Nashville to be folded into Capitol https://books.google[...] 2001-02-03
[27] 웹사이트 Capitol Records Merges With Virgin http://www.rapbaseme[...] 2013-02-28
[28] 웹사이트 EMI Music | Universal Music UK launches Virgin EMI Records http://www.emimusic.[...] 2013-04-04
[29] 웹사이트 Virgin EMI rebrands as EMI, Rebecca Allen appointed as label president https://www.musicwee[...]
[30] 웹사이트 Virgin record label to relaunch backed by Universal Music and Richard Branson https://inews.co.uk/[...] 2021-02-18
[31] 웹사이트 UNIVERSAL MUSIC GROUP LAUNCHES VIRGIN MUSIC GROUP https://www.universa[...] 2022-09-13
[32] 뉴스 Report: Janet Jackson Signs Record $80-Million Deal with Virgin https://apnews.com/a[...] 1996-01-12
[33] 웹사이트 Sold! EMI Music Publishing to Consortium Led by Sony/ATV, Michael Jackson Estate for $2.2 Billion http://www.hollywood[...] 2012-06-30
[34] 간행물 It's Official: Sony-Led Acquisition of EMI Music Publishing Approved by EU http://www.billboard[...] 2017-11-19
[35] 웹사이트 BMG Buys Virgin, Famous Music Catalog From Sony/ATV http://www.hollywood[...] 2012-12-21
[36] 웹사이트 BMG completes Famous and Virgin Music catalogue acquisitions https://www.musicbus[...] 2013-05-16
[37] 웹사이트 EMI Music | Universal Music UK launches Virgin EMI Records http://www.emimusic.[...] 2013-12-08
[38] 웹사이트 List25.com - How 25 Big Companies Got Their Names https://list25.com/h[...] 2012-03-31
[39] 웹사이트 マイク・オールドフィールド https://www.allmusic[...] 2023-02-25
[40] 문서
[41] 뉴스 ユニバーサル ミュージック グループ、Virgin Music Label & Artist Services をローンチ https://prtimes.jp/m[...] PR TIMES 2021-02-19
[42] 문서
[4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